생체장기 적출

“중공 장기적출, 양심에 호소할 때는 지났다”

眞 善 忍 2007. 5. 2. 00:01

“중공 장기적출, 양심에 호소할 때는 지났다”

加·美 CIPFG 단장 ‘올림픽 보이콧’ 제안

등록일: 2007년 04월 29일

 
“양심에 호소할 때는 이미 지나갔습니다” 캐나다 TV와 인터뷰중인 루벤 벌카 박사.
[대기원] “중공 정권에게 더이상 도덕과 인권을 기대할 수 없습니다. 살인을 통해 사리사욕을 채울 뿐입니다”

캐나다의 저명한 종교학자인 루벤 벌카(Reuven Bulka) 박사는 최근 캐나다 TV(채널 22 ‘talk Ottawa’)와 가진 인터뷰에서 중공의 생체 장기적출과 매매에 대해 이와 같이 말했다.

파룬궁 박해진상 연합조사단(CIPFG) 미국·캐나다 단장인 그는 중공의 생체장기적출 및 밀매를 믿지 못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기자의 말에 “3~40년대 나치의 유태인 학살을 아무도 믿지 않았지만, 결국 그 사실이 밝혀졌다. 세계 어디에서든 이식용 장기를 하나 찾는데 평균 몇 년이 소요된다. 하지만, 중국의 의사들은 일주일 내에 필요한 장기를 공급할 수 있으며, 적합하지 않으면 며칠 내에 다른 것으로 바꿔준다고 보증한다. 그렇다면 이 장기들은 어디서 오는 것이며, 어떻게 장기를 ‘보증’할 수 있는가를 생각해보면, 장기들은 시체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살인 후 적출하여 밀매한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그렇지 않고서는 장기를 ‘보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안정적인 장기 공급처에서 필요한 장기를 확실하게 구할 수 있어야만 장기공급을 ‘보증’할 수 있기 때문이다”라고 답변했다.

벌카 박사는 “파룬궁수련자들은 절제 있는 생활과 지속적인 수련으로 신체가 매우 건강하다. 그들을 중공의 적으로 몰린 후 불행하게도 학살의 대상이 됐다”면서 이 문제에 대해 주 캐나다 중국대사관에 문의하였으나, 어떠한 대답도 듣지 못하였다고 말했다.

캐나다 정부가 중공의 열악한 인권 상황을 신랄하게 비판하는 것이 캐나다-중국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벌카박사는 “캐나다 총리가 중공의 열악한 인권상황을 비난하는 것이 캐나다 국익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점진적인 방법으로 서서히 중공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믿는 사람들이다. 과거에는 이런 생각이 어느 정도 받아 들여질 수도 있었겠지만, 중공이 살인과 장기적출, 장기밀매를 공공연히 행하는 현재에는 전혀 통하지 않는 소리다. 살인으로 사리사욕을 채우는 사악하고 잔인한 중공 정권을 절대 믿어서는 안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경제적으로도 살인을 일삼는 정부가 정상적인 교역관계를 가질 리 만무하다고 일축했다.

벌카박사는 중공 정권의 파룬궁 탄압을 비난하면서 “중공이 파룬궁을 ‘사교’로 칭한 것은 황당무계한 것으로, 같은 해 중공은 중국 내 유대교와 기독교 역시 ‘사교’로 몰아세웠다. 이는 중공이 파룬궁을 악의적으로 비방한 것으로 전세계 수십 개 국에서 수천만 명이 수련하는 파룬궁은 절대 ‘사교’가 아니다. 모든 사람을 통제하려고 하는 중공은 파룬궁수련자들의 독립적인 사상을 극도로 싫어한다. 파룬궁은 사람들에게 독립적으로 생각할 것과 ‘진선인(眞善忍)’에 따른 좋은 사람이 될 것을 요구한다. 이는 중공 정권의 독재와 상반되는 것으로, 이에 중공은 파룬궁이 그들을 위협한다고 느낀 것이다”고 설명했다.

그는 웃으며 “재미있는 점은 중공의 핍박이 오히려 파룬궁이 확대되는데 도움을 주었다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탄압으로 인해 파룬궁이 좋다는 것을 알게 됐고, 중국에서 발생한 탄압으로 파룬궁은 국제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했다”고 말했다.

캐나다 국민이 중국에 가서 장기이식을 받는 것을 금지하는 법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박사는 “이식분야는 아직 솔직하다고 말할 수 없다. 하지만 캐나다 신장이식의 일인자인 존 도세터(John Dossetor)박사가 중공의 살인 및 장기적출을 반대하고 나섰고, 많은 사람들이 나서고 있다. 하지만 문제는 도덕적인 방면 이외에 이 행위를 중지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데 있다. 정부 차원을 비롯해 의학분야, 사법계, 올림픽 등에서 중공을 제재해야 한다. 우리 조사단(CIPFG)의 단기목표는 이런 여러 분야에서 효과적인 제재조치를 취하는 것이다”고 밝혔다.

남영택 기자